안녕하세요, Techsafer입니다.
오늘은 CCTV 관제사와 관련된 자격증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정보들을 다뤄보겠습니다.
📌 우리나라 자격증의 공인과 민간의 차이
우리나라는 자격증을 통해 취업, 인사평가, 경력 인정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CCTV 관제사, CCTV 관리, CCTV 운용 자격증 분야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불편한 진실이 있습니다.
현재 국가공인 민간자격으로 인정받은 CCTV 관련 자격증은 단 하나뿐입니다:
영상정보관리사 (국가공인)
- 공인번호: 2024-01호
- 주무부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관리기관: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법인, 서울)
→ 이 자격은 공공기관, 공기업, 국가기반시설, 민간경비 등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될 가능성이 있는 자격입니다.
✨ 자격기본법에 따른 자격의 정의
자격은 자격기본법 제2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국가자격
국가가 법령에 따라 신설·관리·운영하는 자격 (자격기본법 제2조 제4호)
- 예시: 변호사, 공인회계사 등
2. 민간자격
국가 외의 자가 신설·관리·운영하는 자격 (자격기본법 제2조 제5호)
- 공인 민간자격: 국가가 인정한 민간자격 (자격기본법 제2조 제10호, 제19조)
- 등록 민간자격: 민간에서 신설하여 주무부장관에게 등록한 자격 (자격기본법 제2조 제5의2호, 제17조)
✨ 자격기본법 제30조: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효력
자격기본법 제30조에서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효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우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자격과 공인 민간자격을 보유한 자에게 영업 허가, 등록, 면허 등에서 우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사업체 우대
사업주는 채용, 승진, 전보 등의 인사관리에서 국가자격 및 공인 민간자격 취득자를 우대할 수 있습니다.
→ 공인 민간자격은 국가자격과 유사한 효력을 가지며, 신뢰성과 효용성이 높은 자격으로 인정됩니다.
📌 CCTV 관련 국가공인 자격 신설 보도자료
이와 같은 내용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공·민간의 CCTV 영상관제 전문가, 국가공인 자격 제도 신설한다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국내 최초로 CCTV 영상관제 관련 국가공인 자격을 신설하였습니다. (2025년 시행)
- 자격 취득자에게 공공·민간 CCTV 관제시설 취업 시 가산점 부여 등 우대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 등록된 민간 CCTV 관련 자격증 목록
다음은 현재 등록된 민간 CCTV 관련 자격증들입니다:
1. CCTV관제사 (2건)
- 등록번호: 2024-001451, 관리기관: 사단법인 한국재난안전경영협회 (법인, 서울)
- 등록번호: 2023-001952, 관리기관: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 (개인, 서울)
2. CCTV통합관제사 (2건)
- 등록번호: 2022-005383, 관리기관: 명성협동조합 (법인, 강원)
- 등록번호: 2022-001036, 관리기관: 사단법인 지구촌안전연맹 (법인, 서울)
3.CCTV관리자 (1건)
- 등록번호: 2021-004608, 관리기관: 주식회사 더존에듀 (법인, 전북)
4. CCTV관리지도사 (2건)
- 등록번호: 2021-001651, 관리기관: 통신공사네트워크기술협회 (단체, 경기)
- 등록번호: 2018-004009, 관리기관: 한국문화산업진흥원 (개인, 경기)
5. 스마트시티CCTV관제사 (1건)
- 등록번호: 2021-001034, 관리기관: 한국안전경영연구원(주) (법인, 서울)
6. CCTV영상분석사 (1건)
- 등록번호: 2020-004175, 관리기관: 사단법인 한국스마트시티학회 (법인, 경기)
7. CCTV모니터링지도사 (1건)
- 등록번호: 2019-005620, 관리기관: 사단법인 지구촌안전연맹 (법인, 서울)
8. 디지털보안영상정보관제사 (1건)
- 등록번호: 2022-002452, 관리기관: 한국안전경영연구원(주) (법인, 서울)
9. 드론공간영상정보분석 (1건)
- 등록번호: 2021-004142, 관리기관: (주)유아이헬리제트 (법인, 충남)
📌 교육비와 민간자격의 상업적 구조
일부 민간기관은 자격증 발급을 위해 교육비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고용노동부 지원금을 활용해 개인 부담을 줄였다고 홍보하며 수강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용이 자격증의 실질적 가치와 비례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대표적인 민간기관과 운영 자격
- 사단법인 한국재난안전경영협회(재난안전경영연구원(주)) :CCTV관제사, 디지털보안영상정보관제사, 스마트시티CCTV관제사
- 지구촌안전연맹 : CCTV통합관제사, CCTV모니터링지도사
📌 결론: 자격증 취득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자격증이 공인된 민간자격인지 확인하세요.
- 자격 취득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실제 취업이나 경력 개발에 가치가 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 광고 문구의 과장된 표현(“경찰청 인증 자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정 등록자격”,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식 등록자격” 등)에 현혹되지 마세요.
→ 신뢰할 수 있는 자격 취득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자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자격증, AICE의 등장: 시대적 요구와 비판의 시선 (0) | 2024.11.30 |
---|---|
"영상정보관리사" 국가공인 자격 획득: IT 자격증의 새로운 이정표 (2) | 2024.11.30 |
영상정보관리사 자격, 기존 전문가들의 우월성 착각과 현실 안주의 문제 (1) | 2024.11.30 |
리눅스마스터와 네트워크관리사, 매년 수요가 증가하는 필수 자격증 (9) | 2024.11.06 |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에서 올해 마지막 정기검정 자격시험 접수 안내 (4) | 2024.11.05 |